BG Kevin D. Admiral, Armor School Commandant, served in Korea as a company commander and the Executive Officer to the Commander of United Nations Command, Combined Forces Command, US Forces Korea (UNC/CFC/USFK).
케빈 D. 어드미럴 준장, 미 육군 기갑학교 학교장, 중대장 시절 대한민국에서 복무, 유엔군 사령부, 한미연합사 및 주한미군의 참모
“From my service in Korea, I learned how to fight a combined arms fight while serving in 1-72 AR at Camp Casey from 1998-2001. The training we conducted was battle-focused and we honed our skills in synchronizing direct and indirect fires at the right time and place on the battlefield.
제가1998년부터 2001년까지 캠프케이시의 1-72 기갑대대에서 복무할 동안 어떻게 제병협동 전투에서 싸워야 하는지를 배워습니다. 우리가 진행했던 훈련은 전투 중심의 훈련이었으며 전장에서 정확한 시간와 장소에 맞춰 직접 및 간접사격을 진행하는 전투기술을 연마하였습니다.
Multiple iterations of situational training exercises at Twin Bridges, Dagmar North and Monkey’s training areas showed us how to integrate tanks, infantry, engineers, Army aviation, and joint capabilities. The live fire training at Rodriguez Range was exceptional, our Soldiers understood that we had to be lethal, disciplined and trained to deter the KPA and if deterrence failed they had to be able to defeat any enemy forces attacking south. My brigade and battalion commander focused leader development sessions on ensuring maneuver leaders’ understanding of systems capabilities and employment methods that go beyond individual branch competencies.
Twin Bridges, Dagmar North and Monkey’s training areas(주한미군 훈련지역)에서의 다수의 반복적인 상황조치위주훈련은 우리가 어떻게 전차, 보병, 공병, 육군 항공전력 및 합동 역량을 통합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Rodriguez Range(주한미군 훈련장)에서의 실사격 훈련은 아주 우수한 훈련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부대원들은 우리가 조선인민군(북한군)에 억제력을 가질 수 있도록 치명적이며 규율을 갖추고 있고 잘 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였으며 만약 우리가 억제력을 행사하는데 실패한다면 부대원들은 대한민국을 공격하는 그 어떤 적들도 패퇴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였습니다. 저의 부대 여단장과 대대장은 개별적인 군별 적합성을 넘어선 방법 사용과 작전지휘관의 역량체계 이해에 대한 간부 계발 부분에 집중하였습니다.
On my second tour in Korea from 2017-2018, I served as executive officer to the UNC/CFC/USFK Commander. This was a volatile time period with the NK leadership attempting to challenge U.S. and ROK security with bellicose statements and actions that if not managed correctly could have led to armed conflict. I learned during this period the importance of strategic communications, developing courses of action for national leaders to achieve physical, temporal, and psychological advantages over the enemy and how senior leaders must be able to manage partnerships ensuring that equities are understood and fully considered when making difficult decisions that could lead to international consequences.”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대한민국에서의 두번째 파견에서 저는 유엔사/연합사/주한미군 참모로서 복무하였습니다. 이 기간은 올바르게 대처하지 못했을 때 무력충돌로 이어질 수 있는 호전적인 언행을 가진 북한 지도자들이 한미의 안보를 위협하는 불안한 시간들이었습니다. 저는 이 기간동안 전략적 소통과, 국가의 지도자가 적으로부터 물질적, 시간적, 심리적인 이점을 취할 수 있는 방책 개발의 중요성, 그리고 고위 지도자들이 국제적인 결과로 이끌 수 있는 어려운 결정을 만들 때 공정성이 이해되고 충분히 고려되었다는 점을 보장하는 파트너십을 어떻게 이끌어나가야 하는지를 배우게 되었습니다
Comment(1)-
Loading...
Victor Manuel Zavala says
July 19, 2022 at 8:37 amKorea, May 10, 1977-78
Facebook
Follow us on Twitter
My Tweets